
[이데일리 황병서 기자] 6·3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유력 예비 주자들이 존재감 과시에 나서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주자들은 경제통과 지방분권 적임자 등을 내세우며 ‘준비된 대통령’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다. 국민의힘 등 보수 주자들은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본선에서 대결을 펼칠 가능성이 큰 만큼, 상대적으로 개헌의 필요성을 지지층과 대중에게 호소하고 있다.
‘경제통’ 김동연·‘지방분권’ 김경수…李와 차별화
|
13일 정치권에 따르면 친문(親문재인)계 적자인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는 지방분권 적임자를 차저하고 있다. 김 전 지사는 이날 오전 세종시청에서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발표하며 행정수도를 세종시로 완전히 이전하겠다는 공약을 발표했다. 그는 “내란 상징인 용산을 더 이상 대통령실로 사용할 수 없다”며 “대통령이 반드시 서울에 있어야 할 이유도 없다”고 했다. 이 외에도 ‘권역별 5대 메가시티 자치정부’와 연방제 수준의 지방자치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지방 분권의 적임자가 자신임을 강조했다. 그는 “연방제 수준의 지방자치로 가야지만 대통령이 절대 권력이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며 “지방자치단체를 지방정부로 하도록 헌법부터 바꾸고, 자치권도 명문화하겠다”고 약속했다.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역임한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경제통’ 이미지로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김 지사가 지난 9일 인천공항에서 대선 출마를 발표하며 자동차 부품의 관세 대응을 위해 미국을 찾는 연출도 이와 맞닿아 있다. 김 지사는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대산빌딩에서 자동차 부품의 관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시간 주와 4가지 부분에 걸쳐 합의했다고 방미 성과를 소개했다. 그는 “미시간과 경기도 간의 주 정부 협력 채널을 완성했고 관세 문제를 공동 대처하는 데 합의를 했다”면서 “(미시간주와 경기도의) 기업 간의 채널 확립을 위해서 노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재명 예비후보는 대선 출마 발표 후 첫 일정으로 14일 인공지능(AI) 반도체 팹리스 기업인 퓨리오사 AI를 방문한다. AI 등 첨단 산업에 대한 국가 주도 투자의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예비후보는 지난 10일 출마선언 동영상에서도 “첨단과학기술 투자가 중요한데 과학기술 수준이 너무 높아져 개별 기업이 감당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정부의 인력 양성, 대대적인 기술, 연구·개발 투자로 살아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결국 이재명…‘개헌’으로 포위 나선 국민의힘 후보들
|
반면 국민의힘 대선 후보 주자들은 개헌을 강조하고 있다. 민주당에서 본선에 오를 후보로 이재명 예비후보를 보고 있는 데다, 개헌 문제가 이 예비후보를 곤란하게 만들 수 있는 요소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안철수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선거 공약을 발표하면서 개헌을 약속했다. 안 의원은 “이미 수명이 다한 87년 헌법 체제 대신 분권형 개헌 국민투표를 2026년 지방선거와 함께 추진해 대통령과 국회의 권한을 적절하게 축소하겠다”며 제왕적 대통령제 종식, 책임총리제·중대선거구제 도입,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폐지를 하겠다고 밝혔다.
대선 출마표를 던진 나경원 의원도 개헌론에 힘을 실었다. 그는 “개헌은 시대 과제”라면서 “임기 단축을 포함한 대통령 4년 중임제, 국회 추천 책임총리제 도입, 외치·내치 분담형 권력구조 개편 등 근본적인 시스템 개혁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범보수 지지율 1위인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은 지난 9일 출마 기자회견을 통해 “대통령 직선제를 유지하면서 국민의 여망을 한데 모으는 개헌은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10일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한 한동훈 전 대표는 ‘시대교체’를 앞세웠다. 그는 “시대를 바꾼 문화 대통령 가수 서태지처럼 시대교체는 어느 한순간 폭발하듯이 일어난다”며 개헌을 통한 4년 중임의 분권형 대통령제 등을 약속했다. 한 전 대표는 “86 정치인들도 그만 기득권을 내려놔야 한다”며 세대교체를 강조하기도 했다.
#경제통지방분권 #적임자 #강조 #민주개헌 #집중한 #국민의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