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요새 무리가 수라 갯벌 위로 떼 지어 날고 있다. 오동필 새만금시민생태조사단장 제공
환경단체와 학자들이 새만금신공항 건설 계획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충남 서천갯벌과 전북 수라갯벌의 생태를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를 담은 공식 서한을 국제기구에 전달했다.
24일 새만금신공항백지화공동행동에 따르면 최영래 미국 플로리다국제대 부교수, 고예강 오레곤대 부교수, 박태진 베이지역 환경연구소 연구원 등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편지를 람사르협약 사무국 아시아·오세아니아 담당관에게 전날 발송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새만금 신공항 부지가 서천 갯벌에서 불과 6㎞ 떨어져 있어 항공기는 저고도로 서천 갯벌의 상공을 비행해 지역 대부분에 걸쳐 교란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며 “이로 인한 서식지의 질 저하는 조류의 장기적인 기피 행동을 유발하고 개체 수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 같은 변화들은 멸종 위기에 처한 넓적부리도요, 붉은어깨도요, 알락꼬리마도요 등 다양한 멸종 위기 철새들에게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것”이라며 “람사르와 세계유산 등재 조건을 충족하는 서천 갯벌의 자연 가치를 훼손할 것이다”고 말했다.
문정현 신부(88)가 전북 전주시 덕진구 중동 전북지방환경청 앞에서 수라 갯벌 살리기 천막 기도소를 설치하고 ‘흘러라 강물아’라고 쓰인 글씨를 서각하고 있다. 새만금 신공항 백지화 공동행동 제공
이번 편지에서 이들은 국토교통부가 2025년부터 2029년까지로 추진하는 이 공항 건설은 수라갯벌이 부양하는 생물다양성과 사회경제적 활동의 비가역적인 손실을 줄 것이라고 봤다. 국토부가 2021년 제출한 ‘새만금신공항 건설사업 전략환경영향평가서’를 보면 이 지역에서 심각한 조류충돌 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무안국제공항보다 최대 610배 높다.
이에 이들은 “람사르 사무국이 람사르협약이 정하는 ‘생태적 특성 변화 통지 및 이행 점검’ 항목에 해당해 람사르 습지 중 인간 개입으로 훼손돼 생태적 특성 변화가 있거나 예상되는 습지 목록인 ‘몽트뢰 목록’에 추가할 것을 검토해달라”고 요구했다.
한편 환경단체는 내달 15일 ‘새만금국제공항 개발사업 기본계획 취소소송’ 1심 선고를 앞두고 서울 서초구 서울행정법원 앞에서 건설 계획 취소 촉구 1인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학자들 #새만금신공항 #갯벌 #생태 #위협람사르에 #서한